VAD의 배출가스 개선 이론
『 연비.출력을 높아지고, 배출가스는 줄어드는 연소내처리방식 』
자동차배출가스란 연료가 탄 후 배기통 밖으로 나오는 부산물로써, 인체에 비유하면 음식 소화 후 항문으로 나오는 배설물이다.
1. 현재의 자동차 제어 구조
가. 악셀패달의 제어신호 흐름도
1) TPS방식 신호 : (TPS) - (ECU ) - (스윗칭TR) - (인젝터) - (피스톤 연료제어)
- 장점 : 동작이 단순하여 동작 리스크가 적다.
- 단점 : 기계적인 특성이 틀어지면 동작 리스크가 크다.
2) APS방식 신호 : (APS) - (ECU) - (TPS) - (ECU) - (스윗칭TR) - (인젝터) - (피스톤 연료제어)
- 장점 : 신호가 정교하면 TPS방식에 비해 동작 리스크가 적다.
- 단점 : 5V전원부와 ECU의 동작이 불안정하면 동작 리스크가 더 커진다.
나. 전기 공급방식 문제
1) 구조적인 접지전위차 발생
동력전기에 해당하는 1차 전기(12V)회로와 ECU동작의 2차 전기(5V)회로 간은 공통접지가 아니므로 전기선로 및 제어선로 들의 노후화와 ECU부품열화 등에 따라 1,2차회로 간에는 접지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2) 기후에 따라 신호 헌팅 발생
대기의 온.습도, 엔진열, 부품특성변화 등에 따라 선로의 분포정수(Xc,Xl,Ro 등)가 변화하므로 제어신호가 헌팅하게 된다.
3) 과부하에 따라 접지전위차 발생
자동차에 전기과부하가 걸리면 배터리마이너스단자와 차체 간에 접지전위차가 증가하게 된다.
4) 기타 전기적인 방해
알터네이터 또는 배터리가 불량이면 양질의 전기 생성이 안 되므로 전기와 전기신호(제어신호)가 불안정해진다.
2 해결방안
가. 전자적으로 새로운 폐회로망 구성
1,2차 전기회로 간에 (물리적이 아님) “전자적으로 새로운 폐회로망”을 구성시켜 1,2전기회로가 “하나의 전기적인 폐회로망”이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나. 개선 요소
풍부하고 안정된 전기가 생성. 공급되고, 분포정수에 의한 신호들의 왜란을 방지하여 안정된 제어로 불필요한 RPM변화를 억제하고 오토미션의 경우 변속충격을 방지시킬 수 있다.
다. 배출가스 개선 방식
이처럼 시동부터 연료 폭발과 배출의 전 과정을 전자적으로 정교하게 교정하여 “연비개선에 의한 배출가스를 개선하는 방식을 연소 내처리 방식(Internal Process System)” 이라 하며 현재의 연소 후처리 방식(External Process System)을 보완하는 방식이다.
3. 개선 효과
전기와 제어기능 안정화는 기계적인 트러블을 교정하고 억제시켜 "출력을 좋게하고 진동. 소음. 변속충격 등"을 줄여주고 "연비와 배출가스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즉 성능(100%) = 효율(%) +손실(%)공식에서 전기적 안정화로 기계적 손실을 줄여 효율로 되돌리는 피드백 효과(Feed Back effect)를 말하며 “VAD가 개발한 전기적인 시스템원리에 의한 새로운 공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