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배터리 전기에 대하여
● 전기는 전압(V)과 전류(A)를 합친 단어입니다 < Electricity is a combination of voltage (V) and current (A)>
1. 전압의 중요성 * 시동 전에는 배터리전압은 항상 12V~12.6V가 되어야 합니다. * 시동 후에는 발전기(알터네이터)가 만드는 전압으로 이때의 배터리전압은 13.5V~14.5V가 (필수)되어야 합니다. ★ 만일에 시동 후에도 배터리전압이 13.5V미만으로 낮으면 낮을수록 충전은 고사하고 방전을 부추 킨다는 것을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2. 배터리 전기 단위 배터리 전기는 물처럼 저장도 가능하지만 관리를 잘못하면 방전으로 고생하거나 또는 교체비용을 발생시킵니다. 전압(V)은 물의 수압에 해당하고, 전류(A)는 물의 흐름을 뜻하는데, 배터리는 전압(V)과 전류(A)를 저장하므로 용량단위(V/AH)를 사용합니다. * V/AH : Volt/ Amper Hour ★ 참고로 내연기관차는 승용차는 12V(1개), 버스, 트럭은 24V(12V 2개 직렬연결)로 사용 함 3. 발전기(알터네이터) 진단 요령 시동이 걸린 후에 배터리 전압이 13.5V미만으로 나온다면 발전기 불량 또는 아이들시 엔진출력 부족 때문으로 고장 진단 방법은 * 악셀을 밟으니 배터리전압이 13.5V~14.5V내로 나온다면 엔진출력 부족이 원인이므로 아이들시의 엔진출력을 키워주는 수리를 해주어야 하고 * 악셀을 밟아도 배터리전압이 (13.5V미만으로) 별 변화가 없다면 발전기불량이므로 발전기를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4. 방전종지전압(10.8V) 배터리전압은 10.8V(약11V)이하로 떨어지면 안 된다는 기술적 기준을 뜻합니다. 즉 이때는 설령 충전을 시켜도 ( 배터리극판이 휘어짐 또는 극판 피복이 벗겨지는 등으로 인하여) 충전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배터리를 교체 해주어야 합니다.
5. 암전류 자동차는 운행을 하지 않아도 리모콘(수신장치), 시계, ECU핵심칩 등이 소비하는 전류를 암전류라 합니다. * TV를 켜지 않아도 TV몸체, 셋톱박스 등이 전기를 소비하는 전류와 같음
6. 기타. 배터리 터미널 부식과 접촉불량, 접지선과 볼트 불량 등도 배터리 충. 방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됩니다.
배터리관리에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 아래 파일은 전기(전압)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자료임 https://cheongwon.go.kr/portal/petition/open/viewdetail/PRIb54da31754574ea790d016db1fd6491b
<제공= 전기. 제어전문VAD/http://www.motorpower.co.kr >
|